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포영화17

『블레어 위치』 리뷰 예전에 영화 『파라노말 액티비티』를 감상하면서 페이크 다큐 기법을 적용한 공포영화들에 대해 찾아본 바 있습니다. 실화라고 홍보하면서 이 기법을 적용한 공포영화가 많아서인가 페이크 다큐 하면은 공포영화가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실은 페이크 다큐 장르는 단순 거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 페이크 다큐 기법을 공포영화에 최초로 접목한 것이 이 『블레어 위치』이며 이 영화의 대성공 이후 비슷한 기법의 공포영화가 쏟아졌다는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더군요. 검색을 해보면 지식백과에서 자세한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었는데요. 단순 페이크 다큐 기법을 사용한 것만이 아니라 전문가가 아니라 일반인이 찍은 듯한 영상으로 인해 영화에서 벌어지는 일이 진짜 기록물 같다는 느낌을 주고 또한 실화라는 마케팅이 잘 먹혀들어가.. 2024. 12. 29.
『어스』 리뷰 이 영화를 보게 된 경위는 OCN에서 하는 드라마를 보다가 예고편이 나오는 걸 보게 되면서였습니다. 『겟 아웃』 감독의 신작이라고 하기에 흥미도 갔는데 간간이 보게 된 스포일러로는 무슨 내용인지 감도 안 잡혀서 영화를 봐야만 이해가 되겠구나 싶었습니다. 다만 포스터라던가 다른 사람들 리뷰에 언급되는 바에 의하면 도플갱어 같은 존재들이 등장하는 공포영화 종류인가 싶었더라고요. 일단 영화의 시작은 여주인공이 어린 시절 해변가 놀이공원의 미로 터널에서 자신과 똑같은 아이를 목격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몇 년 후 어른이 되어 화목한 가정을 꾸린 그녀는 가족과 함께 별장으로 휴가를 오게 됩니다. 하지만 다른 가족과 달리 그녀는 무언가 쫓기는 듯한 불안감에 시달리게 되고 그녀의 아들은 기괴한 노숙자를 목격하.. 2024. 12. 23.
『인시디어스 : 빨간 문』 리뷰 『인시디어스 : 빨간 문』은 넷플릭스를 통해 감상하게 된 영화입니다. 『인시디어스』 시리즈는 기회가 될 때마다 꼬박꼬박 본 것이기도 하며 모든 시리즈가 다 만족스럽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공포영화로써 재미있게 본 것은 사실이에요. 개인적으로 완성도로 따지면 조쉬 가족 이야기를 마무리 지은 1편과 2편이 제일 훌륭하고, 앨리스가 중심으로 나와 그녀가 악령을 퇴치하는 후속작들은 전작보다는 좀 미진한 느낌이 들긴 해도 흥미롭게 본 작품들입니다. 하지만 시리즈가 여러 편 나오면서 궁금했던 점은 악령은 새로 등장시킬 수 있다고 하더라고 앨리스는 작중 사망한 입장이라 그녀 없이 과연 이야기를 진행시킬 수 있는지였습니다.그래서 후속작 시리즈는 앨리스가 죽기 전 과거편을 다루면서 그런 문제점을 해결했는데 이번 『인시디어.. 2024. 11. 25.
『인시디어스』 리뷰 영화 『인시디어스』 시리즈는 같은 감독의 『컨저링』을 보고 나서 흥미가 생겨 챙겨보게 된 작품입니다. 영화는 『컨저링』과 비슷하게 주인공인 조쉬와 르네 부부가 자식들을 데리고 이사 온 집에서 이상한 일을 겪는 것으로 시작하는데요. 다만 『컨저링』 때완 다르게 인시디어스의 배경은 현재이며 애플 로고가 박힌 노트북을 이번 1편에서도 발견하는 등 재미난 부분도 눈에 들어왔고요. 하지만 영화를 보면서 꽤 공포영화의 정석대로 흘러갔다 싶은 『컨저링』과는 달리 『인시디어스』는 여러모로 변화를 준 게 보이는데 일단 주인공 부부와 자식들이 겪는 유령 소동은 집이 원인이 아니었다는 사실입니다. 르네는 아이들의 방에서 일어나는 기이한 소리와 인기척에 놀라고 심지어 장남인 달튼마저 넘어진 뒤 혼수상태에 빠지는 일이 발생하자.. 2024. 11. 21.
『잠』 리뷰 이 영화는 예전에 넷플릭스에 들어갔을 때 영화 목록 중에서 우연히 발견한 영화였습니다. 본디 드라마를 많이 보는 편이긴 하지만, 『잠』 같은 경우는 찾아보니 호평이 좀 많이 보이는지라 좀 관심이 생기더라고요. 개봉 당시에는 영화를 보러 갈 생각을 하지 않았고, 보통 넷플릭스에서도 자주 찾아보는 건 드라마지 영화가 아니라 볼까 말까 망설이다가 이번에 재생을 누르게 되었습니다. 영화를 보기 전 찾아본 평들에는 줄거리는 얼마 없고, 공포영화로써 완성도가 괜찮다는 평이 많아서 대강 어떤 내용인지 짐작은 하지 못한 채 영화를 보기 시작했는데요. 일단 제목이 『잠』이니까 잠을 자면서 겪는 악몽이 공포 요소라거나 잠들면 나타나는 증상이 문제라거나 예상을 했었습니다. 몽유병 같은 건 은근 괴담에 많이 나오는 소재이기도.. 2024. 11. 20.
728x90
반응형